신생아들은 3시간에 한번 씩 수유를 해야합니다. 과연 신생아도 수면 교육이 필요할까요? 또 안아만 자야하는 아기들을 어떻게 꿀잠 재울 수 있을까요? 이제부터 알아보려고 합니다.

신생아도 수면 교육 필요한가?
이 시기의 아이들은 하루 평균적으로 18시간정도 잠을 잡니다. 그러다 생후 2~3개월 시기가 되면 낮과 밤을 구별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적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여 수면 패턴을 만들고 먹놀잠 패턴을 만들어 줍니다.
아이 스스로 낮과 밤을 알아채는 게 중요합니다. 아침에는 창문을 활짝 열어 신선한 공기와 빛으로 활동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생활소음으로 활기를 줍니다.
신생아는 얕은 잠을 자기에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지만 말소리, 물소리 등 적당한 소음이 있어야 아이도 자신이 속한 공간에 적응하게 됩니다. 지나치게 조용한 환경은 아이를 예민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합니다.
반면 밤에는 불을 끄고 잠을 잘 수 있도록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또한 가로등 불빛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암막커튼을 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졸음 신호를 포착하라
아이들은 졸릴 때마다 각자의 신호를 보냅니다. 어른처럼 하품을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칭얼대는 모습을 주로 보입니다.
또한, 눈을 비비거나 귀를 잡아당기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 평소 아이의 졸음 신호를 잘 알아두었다가 이러한 행동을 보일 때 부드럽게 등을 토닥이면 쉽게 재울 수 있습니다. 리듬이 반복되는 백색소음도 도움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센서 달린 아이를 위한 재우기 비법
예민한 아이들은 안겨 있을땐 곤히 자다가도 내려놓기만 하면 등센서로 잠에서 깬다. 아이가 깨는 이유는 첫째, 포근하고 따뜻한 엄마 품과 이부자리 환경이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자세탓입니다. 안겨 있을 땐 몸이 적당하게 구부러져 있었는데 이불 위에 눕히면 몸이 갑작스레 펴지며 자세가 바뀌기 때문에 놀라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의 '등센서'를 완화시키고 싶다면 안고 있던 자세를 유지하여 이불 위에 함께 누워 있다가 서서히 아이를 떼어놓아야 합니다. 다소 번거로울 수 있고 시간도 걸리지만 잘 자던 아이가 깨는 빈도는 한결 줄어들 것입니다.
밤에는 든든한 수유로 통잠 재우기
위의 용량이 적은 아기들은 배가 고프면 바로 잠에서 깨어 울음을 터트립니다. 생후 3개월 무렵부터는 조금씩 통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밤에 잠들기 전 낮보다 조금 더 많은 양을 먹이는 것이 긴 잠을 자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혼합수유 중이라면 가급적 밤에는 모유에 비해 늦게 소화되는 분유를 먹이는 것이 통잠 재우는 비법일 것입니다.
엎드려 재울까? 눕혀 재울까?
옆드려 재우는게 좋을지 똑바로 눕혀 재우는게 좋을까요? 신생아의 두개골은 아직 말랑말랑하기 때문에 엎드려 재우면 예쁜 머리 모양을 만들거나 고개 가누는 연습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신체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호흡기에 부담이 갈 수 있습니다. 게다가 자칫 푹신한 이불에 얼굴이 파묻힐 경우 아이가 혼자서 고개를 돌리지 못해 유아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전문의들은 권하지 않습니다. 단, 엄마가 곁에서 자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을 때는 잠깐씩 엎어 재워도 괜찮습니다.
평소 먹는 것을 유난히 잘 게워내는 아기라면 옆으로 재우는 자세를 권합니다. 자다가 토사물이 자연스레 흘러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지막한 베개나 동그랗게 돌돌 만 타월을 등에 대면 옆으로 누운 자세를 안정감 있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임신출산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후조리원 선택 할 때 고려할 체크리스트! (0) | 2023.02.16 |
---|---|
출산 후 건강관리 방법!?(통목욕/부부관계/좌욕) (0) | 2023.02.10 |
우리 아기 이유식 시작 시기와 초기,중기,후기 특징은?(씹는능력/사용재료/주의재료) (0) | 2023.02.10 |
신생아와 1~12개월 아기 언어 발달 시키려면?(옹알이 시기/반응) (0) | 2023.02.09 |
생후 7~12개월 아기 발달 과정은?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