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생후 0~3개월
엄마들은 우리 아기가 잘 크고 있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아기의 성장 발달에 평균은 있지만 저마다 성장 속도에 차이가 있어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주의해야 해요. 오늘은 생후 1개월, 2개월, 3개월 아기들의 성장 발달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태어나면서부터 들을 수 있고 볼 수 있다
출생부터 생후 1개월까지는 아직 정확하게 사물을 인지할 수는 없지만 사람과 눈을 맞출 수 있어요. 완전한 눈 맞춤은 생후 3개월 이후에 가능하므로 생후 2개월에 눈 맞춤이 되지 않는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신생아는 청력이 발달하여 아주 작은 소리에도 반응을 보입니다. 하지만 의미 없는 소리가 지속되는 경우 아이의 뇌에서는 같은 소리에 더 이상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으므로 양육자가 일상생활을 유지하지 못할 정도로 집 안을 무조건 고요하게 유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옹알이를 시작한다
생후 1개월에는 엄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다정하게 이야기하며 상호교감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정적인 감정을 울음으로 표현합니다. 즉 말을 못 하는 아이에게는 울음이 언어인 것입니다.
생후 3개월이 되면 조금씩 옹알이를 시작합니다. 목에 무엇이 걸린 듯 작은 소리를 내다가 좀 더 복잡한 옹알이 형태로 발전하는데 이때 말을 건네주고 반응해 준다면 옹알이가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고개 돌리기와 목 가누기가 된다
생후 1개월에는 엎드려놓으면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있고 소리를 들려주면 고개를 소리가 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생후 3개월에는 엎드린 상태에서 고개를 어깨 정도까지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일명 터미타임이라고 하지요? 터미타임을 깨어 있는 시간에 10초 씩이라도 자주 바닥에 엎드려 놓아야 합니다.
태어날 때 아기는 주먹을 쥐고 태어나며, 생후 2개월이 되면 주먹을 조금씩 펴기 시작합니다. 이때 연필 두께의 딸랑이를 쥐어주면 몇 초 동안 딸랑이를 쥐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원시반사(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가지고 태어나는 반사)로 인해 입술에 무언가가 닿을 때 무의식적으로 빠는 행위를 합니다.
마찬가지로 고개가 아래로 떨어질 때 양팔을 벌리고 손을 벌리면서 무언가를 잡으려는 동작을 취합니다. 생후 3개월에는 움직이는 물체를 향해 헛손질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루종일 모빌을 보면 눈이 가운데로 몰릴 수 있고, 등으로만 누이면 등 근육이 발달해 운동 발달에 지장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다
생후 3개월까지는 아이의 기질을 알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노출되면서 빛과 소리, 먹고 자고 깨는 등의 리듬에 쉽게 익숙해지는 아이가 있는 반면 그러지 못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쉽게 익숙해지지 못하는 아이는 잠들기 전, 배고플 때 등 스트레스 상황에서 크게 웁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예민한 아이는 노리개 젖꼭지와 흔들침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좀 더 육아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엄마의 피로가 지나치면 짜증이 나고 산후우울증이 쉽게 극복되지 않아 아기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엄마도 임신과 출산을 거치면서 가장 힘든 시기이므로 주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구해야 합니다.
'임신출산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와 1~12개월 아기 언어 발달 시키려면?(옹알이 시기/반응) (0) | 2023.02.09 |
---|---|
생후 7~12개월 아기 발달 과정은? (0) | 2023.02.08 |
생후 4개월, 5개월, 6개월 아기 발달은? (0) | 2023.02.08 |
임신초기 주의사항? 좋은 음식은? (0) | 2023.02.06 |
신생아 대표 질병 7가지(증상/원인/치료) (0) | 2023.02.05 |
댓글